1. EU
1) 면세 기준
구분 | 금액기준 | 관세(DUTY) | 부가세(VAT) |
정식통관 | 150 EUR 이하 | FREE | 과세 |
정식통관 | 150 EUR 초과 | 과세 | 과세 |
1.
€150 이하 시 관세는 면제되나 부가세는 발생
a.
2021년 7월부터 모든 B2C 화물에 대해 VAT 과세(소액면제제도 폐지)
b.
대금거래가 없는 €40 이하의 C2C 물품은 부가세 면제 제도 유지
2) 관세율 및 부가세율 확인 방법
1.
My Trade Assistant에서 HSCODE, 원산지국(수출국), 도착국 선택
(ex) HSCODE : 6205200090 / 수출국 : 한국 / 도착국 : 프랑스)
2.
프랑스 관세율(DUTY) : 12% (한 - EU FTA)
3.
프랑스 부가세율(VAT) : 20%
3) 부가세(VAT) 지불 팁 
1.
IOSS(Import One Stop Shop) 활용
a.
150 EUR 이하 전자상거래 B2C 물품에 부과되는 유럽 VAT를 판매자가 수취인 대신 직접 유럽 당국에 납부할 수 있는 제도
2.
IOSS 활용 장점
a.
예상치 못한 수입 부가세와 추가비용이 구매자에게 청구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클레임 방지
b.
EU 27개 회원국에서 모두 유효하며, 물품 도착지에 관계없이 해당 등록 국가에만 VAT를 신고
c.
IOSS번호가 기재된 화물은 VAT 징수를 하지 않고 통관하기 때문에 더 빠른 반출 기대
d.
운송사에서 VAT를 대신 납부하는 경우 발생하는 대납수수료 미발생
3.
IOSS 유의 사항
a.
IOSS는 필수사항이 아니며, EU내 설립된 법인이 없는 경우 VAT 신고의무를 대행할 EU 중개인 필요
b.
IOSS 사용 시 VAT 금액 명시(VAT는 최종 도착국 기준)
c.
화폐단위는 EUR로 기재 필요
d.
IOSS 판매기록 10년간 보관의무
4) EU FTA
1.
자율 발급
a.
인보이스 금액 6,000 EUR 초과하는 경우 인증수출자에 의하여 COO 자율 발급
2.
필요 내용
a.
인증 수출자 번호
i.
물품가격 6,000 EUR 초과시 인증 수출자번호 필수
( ex. 한국 : 세관부호(3) / 인증연도(2) / 일련번호(6))
ii.
제품의 원산지(국가별 ISO 코드)
iii.
장소 및 일자
iv.
수출자 또는 신고서 작성자의 성명 및 서명
2. 영국
1) 면세 기준
구분 | 금액 기준 | 관세(DUTY) | 부가세(VAT) |
정식통관 | 135 GBP 이하 | FREE | 과세(*판매시 적용) |
정식통관 | 135 GBP 초과 | 과세 | 과세 |
1.
브렉시트 이후 LVCR(Low Value Consignment Relief) 폐지됨으로써 부가세 발생
a.
C2C간 선물 거래는 39GBP 관부가세 면제 유지
2) 관세율 및 부가세율 확인 방법
1.
Search the UK Intergated online tariff 에 hscode 검색
2.
VAT, DUTY 참고
영국은 표준세율, 경감세율, 영세율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부가세율 상세 확인 필요 (대부분 표준세율 20%)
3) 영국 수출 시 주의사항
1.
영국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B2C, B2B 거래 해외(한국) 수출자 HMRC에 VAT Account 등록이 필수
2.
135 GBP 초과의 경우 수입시점 세금이 부과 → PVA 제도를 통해 VAT 추후 정산
(※ PVA(Postponed VAT Accounting)이란 수입시점에 납부해야하는 부가세를 부가가치세 신고 시점에 한 번에 정산하는 제도)
4) UK FTA
1.
자율발급
a.
인보이스 금액 6,000 EUR 초과하는 경우 인증수출자에 의하여 COO 자율 발급
i.
2025년 자국 통화상의 기준금액 5,400 GBP
b.
브렉시트 이후 인증 수출자
i.
업체별 인증수출자는 한-영 FTA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품목별 인증 수출자 또는 신규 인증수출자 지정을 원하는 경우 영국 관할세관을 통해 추가 신청 필요
2.
필요 내용
a.
인증 수출자 번호
i.
물품가격 6,000 EUR 초과시 인증 수출자번호 필수
( ex. 한국 : 세관부호(3) / 인증연도(2) / 일련번호(6))
b.
제품의 원산지(국가별 ISO 코드)
c.
장소 및 일자
d.
수출자 또는 신고서 작성자의 성명 및 서명